주식시장 흔드는 저탄소 정책, 타격 업종과 수혜주는?
글로벌 주식 시장에서 친환경-저탄소주(株)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유럽연합과 미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이 탄소 배출 감축 정책에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인데요. 철강과 시멘트, 알루미늄, 전기 등 다양한 업종이 탄소 배출 규제에 타격을 받을 수 있어 각국 증시에도 적지 않은 충격이 예상됩니다. 반대로 저탄소 수혜주와 관련 운용 상품은 호황을 누리고 있는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저탄소 정책이 세계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50 탄소 중립’이 글로벌 패러다임이 되면서 세계 곳곳에서 탄소 중립 선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은 저탄소 정책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는데요. 유럽연합은 지난 7월 기후 대응 법안 패키지를 발표하고, 오는 2030년까지 역내 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줄이기로 했습니다. 탄소배출권거래제(ETS) 대상을 확대하고 2035년부터는 내연기관 차량의 출시를 금지한다고 하네요.
특히 주목받는 것은 탄소국경세라고도 불리는 ‘탄소 국경 조정 메커니즘(CBAM)’입니다. CBAM은 역외에서 철강, 알루미늄, 비료, 시멘트, 전기를 유럽연합으로 수입할 때 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CBAM 인증서를 의무적으로 구매해 제출하도록 하는데요. 쉽게 말하면 관련 기업이 유럽연합에 수출하려면 탄소를 배출한 만큼 세금을 더 내야 합니다. 유럽연합은 2023년부터 시범으로 보고를 받은 후 2026년부터 실제로 탄소국경세를 부과할 예정입니다.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공언하고, 필요하면 탄소 국경 조정 정책도 도입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탄소국경세를 부과하면 탄소 배출량이 수입품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유럽연합 내 수입품의 가격 경쟁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특히 탄소 배출량이 많은 개발도상국은 타격이 심할 것으로 보여 무역 장벽으로 활용된다는 해석도 나오는데요. 앞으로는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을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친환경 정책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저탄소 정책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는데요. 지난 8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35% 이상으로 규정한 탄소중립기본법이 국회 법사위를 통과했습니다. 이처럼 저탄소 정책의 단계적인 확대는 세계적으로 불가피한 흐름이 됐습니다.
탄소 배출에 패널티가 붙는 정책 방향은 글로벌 증시에 적지 않은 압박을 줄 것으로 보이는데요. 관세 비용 상승이 기업 이익을 갉아먹기 때문입니다. 한 투자 회사의 분석에 따르면 2030년까지 탄소 가격이 톤(tCO₂)당 75달러로 상승한다면 글로벌 주식시장은 최대 20%의 조정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탄소 가격이 톤(tCO₂)당 150달러까지 오른다면 평균 41%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전망인데요. 이제 주식 가치를 평가할 때 탄소 배출 관련 이슈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탄소 가격 상승은 국내 기업에도 타격을 입혔는데요. 그린피스 서울사무소에 따르면 우리 기업은 탄소국경세로 매년 6,000억원의 추가 비용을 떠안을 것으로 보입니다. 철강, 석유 전지, 자동차 등의 업종에서 미국과 유럽연합, 중국 등 3국에 탄소국경세를 지불하는 경우를 상정한 통계인데요. 규제가 더욱 강화되는 2030년에는 탄소국경세로 지불하는 돈만 약 1조 8,000억원에 달한다고 하네요. 이는 전체 철강 수출액의 10% 이상, 석유화학 수출액의 5% 이상인 금액입니다.
정부의 NDC 조정도 기업들의 부담을 가중하는데요. 아직 각 업종마다 탄소를 절감할 수 있는 수단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탄소 배출을 감축하면 공정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불가피한 반도체와 정유화학 업종들은 뾰족한 수가 없어 최악의 경우 가동률을 줄여야 한다는 입장인데요. 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철강업 역시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소 환원 제철 기법을 2050년에야 상용화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저탄소 정책의 수혜를 입는 업종도 있는데요. 특히 수소차와 전기차, 재생에너지 관련 업종에 기대감이 높습니다. 유럽연합의 내연기관 차량 판매 금지 조치로 수소차와 전기차 수요가 빠르게 늘게 되자 2차 전지 생산 업체들과 전기차 충전소 관련 업체, 수소 연료 전지 모델 생산 기업들까지 호재를 입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올해에만 30조원이 넘는 매도 폭탄을 던지는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장바구니에 담고 있는 주식 역시 배터리 관련 업종입니다.
항공 등유와 선박 연료에도 탄소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친환경 선박에 특화된 국내 조선업계의 활약도 기대됩니다. 태양광과 풍력 타워 등의 재생에너지 관련 업종도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온실가스 저감장치와 탄소배출권 판매업을 사업으로 둔 업체들은 직접적인 혜택을 보게 되면서 최근 주가가 크게 오른 상황입니다.
친환경 관련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도 글로벌 자금이 몰리고 있는데요. 기업의 환경(E), 사회(S), 지배 구조(G)를 고려해 투자하는 글로벌 ESG/SRI 주식형 ETF 운용자산 규모는 2017년 62억달러에서 지난 6월 말 2366억달러로 무려 38배 이상 늘었습니다. 관련 상품도 89개에서 443개로 급증했습니다. 탄소배출권 시장 자체에 투자하는 글로벌 탄소 상장지수 펀드((KRBN)나 탄소 배출량을 줄인 기업에 투자하는 아이셰어즈 MSCI ACWI 저탄소 타깃 EFT(CRBN)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저탄소 정책이 세계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친환경 이슈는 이제 우리의 일상은 물론 투자 시장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주요 과제가 됐는데요. 이번 포스팅이 세계적인 저탄소 정책 확대와 함께 변화하는 투자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Hana 컬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억 벌어도 세금 0원? ISA로 주식해야 하는 이유 (0) | 2021.09.14 |
---|---|
부자 되려면 이것 버려라! 가난을 벗어나는 습관 3 (0) | 2021.09.09 |
은퇴 전보다 더 번다? 부자 되는 귀농 법은 따로 있다 (0) | 2021.08.24 |
주유비 부담 줄이려면? 금액 아닌 ‘이것’ 단위로 주유! (0) | 2021.08.19 |
돈 떼이지 않으려면? 모르면 손해 보는 거래 증명 3 (0) | 2021.08.17 |